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솔리드웍스

로봇모델링 2일차(0424) - 6 정면에서 스케치 작업을 한다. 돌출을 반대방향으로 60을 준다. 윗 면으로 가서 스케치한다. 구멍가공마법사를 이용해서 4곳에 작업을 해준다. 스케치 면에 점을 4곳에 찍어서 구속을 시켜준다. 중앙의 가로 보조선은 숨기기한다. 스케치 종료 후 구멍가공마법사를 클릭한다. 구멍유형은 - 구멍, 규격 - KS, 유형 - 나사 여유값, 구멍스펙은 크기 - M8, 사용자정의크기 - 8M, 관통 직선홈은 돌출컷으로 관통해준다. 완성된 모델링 더보기
로봇모델링 2일차(0424) - 5 원형 배열 드릴구멍 6개 표준각도 상에 어떤 형상이 있다. 18도 38도가 있다. 그 구간에 정보가 있기 때문에 그것을 기준으로 잡아서 배열을 하면 되겠다. 정면에서 작업한다. 원이 총 4개가 필요하다. 낙하산 모양을 만들기 위해 원을 두개 그린다. 인터셉터해서 교차점 찾기가 어려우므로 중앙의 보조선을 끊어서 작업한다. 더보기
로봇모델링 2일차(0424) - 2 원과 사선을 탄젠트 조건을 줄 때 원 스케치가 틀어주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이전으로 돌아가서 원을 선택하고 고정시켜준다. 아래의 원과 선을 tan조건으로 붙여준다. 필요없는 선을 '요소잘라내기'로 없애준다. 나머지 필요없는 선들도 잘라내기 해준다. 왼쪽 원과 직선홈이 만나는 부분을 필렛 4 처리를 한다. 치수선이 아래와 같이 거꾸로 나오는 경우 디자인트리의 지시선 탭에 가서 화살표를 변경해준다. 더보기
로봇모델링 2일차(0424) 공식 : 기준면 설정 -> 스케치 -> 구속조건부여, 치수구속 -> 스케치 종료 -> 피처 (돌출, 회전, 스윕, 로프트) 피처(ISO2)(남동동락) 기준면 잡는다 : 초기 데이텀을 도면을 보고 정면, 평면... 으로 잡을지 결정한다. 기준면 평면 - 상면 , 하면 측면 - 좌측, 우측 정면 - 정면, 배면 스케치1 77p 가로 부분의 정보가 없기 때문에 파란색 부분이 생긴다. 스케치가 완벽하게 구속되지 않고 있다. 가로 치수를 넣어 구속을 완성해보자 직선홈을 위와 같이 치수를 주고 직선홈의 중심점과 오른쪽의 표시부분과 수평 구속조건을 준다. 엔드밀로 원점에서 x55, y-30을 지정하면 온다. 여기에서 아래쪽으로 -50으로 오고 원호를 그리고 빠져나간다. 스케치 종료 후 피처 작업을 한다. 보스돌출 -.. 더보기
생산자동화기능사 CAD작업(43번) 모델링 윗면에서 속이 빈 원통형상을 스케치한다. 돌출-보스를 20만큼 준다. 원통 중심에서 외곽으로 100만큼 떨어진 곳에 점을 스케치하고 링 형상이 될 원을 스케치한다. 스케치 된 원에 지름이 10인 원을 그리고 스윕보스 작업을 할 예정이다. '참조형상-기준면' 클릭 후 제1참조를 원을 선택한다. 이전에 만들었던 점을 클릭하고 왼쪽 디자인트리의 '직각'을 눌러준다. 이렇게 하면 외곽원과 직각인 면이 생성된다. 이 면에 링 모양의 두께가 되는 원을 스케치한다. 링의 두께가 될 원의 스케치가 끝나면 스윕보스 작업을 한다. 스케치 프로파일을 선택하고 경로(외곽 원)을 선택한다. 스윕보스 작업이 끝나면 기준면으로 사용한 '평면3'을 숨기기 한다. 중간 원통형상과 외곽의 링을 연결할 로프트 작업을 한다. 도면을 참고하.. 더보기
생산자동화기능사 CAD작업(44번) 모델링 형상이 잘 나타날 수 있는 '정면'에서 아래와 같이 스케치 작업을 합니다. 오른쪽의 치수 50의 위치가 오류가 있습니다. 이후 작업에서 오류가 있는 곳을 수정합니다. (추천) (지금 바로 수정해서 작업해도 됩니다) 스케치 완료 후 돌출 보스를 30mm만큼 준다. 기본형상이 만들어진 후 형상의 위에 면에서 아래와 같이 스케치 작업을 합니다. '카운터 보어' 구멍을 내기 위해 4곳에 점을 찍어 놓습니다. '구멍 가공 마법사'를 이용해 점이 찍힌 4곳에 '카운터 보어 홀'을 가공합니다. 중간에 복잡(?)한 형상은 이후에 하고 오른쪽에 아래와 같이 스케치를 합니다. 직선 홈 2개를 아래의 치수로 위치시키고 대칭복사를 합니다. 작업을 하다가 '치수 오류'가 난 곳이 발견되었습니다. 도면에서 오른쪽 50mm부분이 .. 더보기
생산자동화기능사 CAD작업(45번) 모델링 [모델링 과정] 형상을 잘 알아볼 수 있는 곳이 정면도라고 했으니 정면도를 기준으로 만들어야 할까? 아니면 정,평,측면도의 공통부분을 먼저 작업할까? 윗면을 선택하고 스케치를 해본다. 30만큼 돌출보스를 해준다. 그리고 정면 아래쪽과 뒷면 윗쪽에서 형상을 뽑아본다. 앞으로 돌출된 면 위에서 아래와 같이 스케치한다.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곳을 아래와 같이 스케치한다. '요소 잘라내기'를 하고 돌출컷을 해준다. 필렛을 12mm로 처리 해준다. 왼쪽면에서 아래와 같이 스케치한다. 돌출을 안쪽으로 9만큼 준다. 마지막으로 필렛을 1만큼 주고 완성시킨다. [모델링 파일] 더보기
솔리드웍스 단축키 자료출처 : https://cafe.naver.com/evolution1th/1076 더보기
솔리드웍스 도면파일의 오토캐드 레이어와 연동하는 방법 -맵핑Mapping 도면 파일을 캐드파일(.DWG)로 저장할때 옵션을 지정한다. 매핑기능을 사용하겠다는 것을 체크한다. 처음일때는 '맵 파일'이 없다. 매핑 창이 뜬다. 현재는 미리 지정되어 있는 파일을 불러온 경우이다. 왼쪽 창이 AUTOCAD 파일에 사용될 레이어 아무것도 지정하지 않으면 0번 레이어에 다 들어간다. 오른쪽 맵 요소를 보면 레이어는 오토캐드에서 사용할 레이어다. 외형선의 요소에는 어떤 요소를 가져다 놓을거냐? ---> '형상 정보를 가져다 놓겠다' 이렇게 하면 뷰에서 바깥쪽 형상을 나타내는 실선들이 '외형선'으로 들어온다. 그 밑으로 하나씩 오토캐드에서 쓸 레이어에 현재 솔리드웍스에서 사용하고 있는 요소들을 대응시켜준다. 몇 가지 추가를 해주었다. 그리고 다음에 쓸 경우를 대비해서 '맵 파일 저장하기'를.. 더보기
생자 실기 solidworks 15번 모델링 + 도면 작업 1. 솔리드 작업 정면에서 스케치작업을 아래와 같이 한다. 스케치 종료 후 돌출보스를 한다. 방향은 중간평면, 길이는 20 뒷면으로 가서 아래와 같이 스케치 한다. 스케치 종료 후 돌출보스를 한다. 방향은 블라인드 형태(반대방향), 길이는 12 다시 뒷면에서 아래와 같이 스케치 한다. 스케치 종료 후 돌출컷으로 관통을 한다. 관통 후 등각보기를 해본다. 왼쪽 면으로 가서 아래와 같이 스케치 한다. 스케치 종료 후 돌출컷으로 관통을 한다. 관통 후 등각보기를 해본다. 안쪽 각진 4부분에 필렛을 2만큼 준다. [완성 모델링] [작업 파일] [작업 파일] 2. 도면 작업 [도면 파일] 더보기
생자 실기 solidworks 14번 모델링 + 도면 작업 1. 솔리드 작업 정면을 잡고 아래와 같이 스케치한다. 스케치 후 안쪽 도넛 형상을 돌출보스한다. 중간평면, 길이는 42mm 바깥쪽 도넛 형상을 돌출보스한다. 중간평면, 길이는 28mm 다시 정면에 있는 면을 잡고 아래와 같이 스케치한다. 피치원(P.C.D)지름을 100, 이끝원 지름을 106으로 한다. 기어의 이 모양을 스케치 하기 위해 중심선 오른쪽으로 점을 3군데 찍어둔다. 중심선에서 두번째 점까지 거리는 3*0.785(=2.36mm)로 한다. 첫 번째 점과 두번째 점까지 거리는 3*0.5(1.5mm)로 한다. 두 번째 점과 세 번째 점까지 거리는 3*0.25(0.75mm)로 한다. 3점을 '3점호'로 연결한다. 대칭복사를 해주고 돌출보스를 해준다. 방향은 '다음까지'로 한다. 돌출 후의 모습이다... 더보기
생자 실기 solidworks 13번 모델링 + 도면 작업 1. 솔리드 작업 정면에서 아래와 같이 스케치를 한다. 스케치 종료 후 돌출보스를 적용한다. 중간평면, 길이 40mm 모서리에 필렛 20을 준다. 윗면에 지름 20인 원을 그리고 돌출컷을 해준다. 위면 모서리에 필렛 6을 준다. 오른쪽 면에서 지름 15인 원을 스케치 한다. 정면 뷰로 와서 원 중심에서 20도 각도의 선을 그린다. 이 상태에서 '컷 스윕' 기능을 이용해서 해당 경로(직선)에 프로파일(원) 모양으로 컷을 해준다. 오른쪽 면을 잡고 원을 스케치해서 관통을 시켜준다. 오른쪽 면 위에 원을 그리고 관통시켜준다. 모서리 부분은 필렛 12를 준다. 마지막으로 필렛 3을 준다. [완성 모델링] [작업 파일] 2. 도면 작업 A3 크기의 시트용지에 표제란과 중심마크를 그리고 모델링한 파트를 뷰로 불러온.. 더보기
생자 실기 solidworks 12번 모델링 작업 1. 솔리드 작업 정면에서 상단의 원형상을 스케치한다. 스케치 종료 후 돌출보스 22만큼 해준다. 윗면을 클릭하고 '참조형상-기준면'을 눌러 기준면을 55mm만큼 아래에 만들어준다. 평면1(기준면)에 바닥판을 만들 사각형을 스케치한다. 돌출보스를 5mm로 해준다. 우측면을 잡고 오른쪽 끝 모서리에 돌출컷을 할 사각형을 스케치 한다. 돌출 컷을 해준다. 필렛작업을 아래와 같이 해준다. 바닥면과 원통을 연결할 수직면 작업을 한다. 정면의 뒷쪽 면을 잡고 돌출 형상을 스케치한다. 원은 직접 그려도 되고, 원통의 원을 클릭 - '요소변환'을 눌러도 된다. 원과 바닥면에 선을 긋는다. 원과 선의 접점은 일치+탄젠트 조건의 아이콘이 뜰때까지 그려준다. 선을 원에 붙이고 원과 선을 클릭해서 '일치'조건을 한 번 더 .. 더보기
생자 실기 solidworks 11번 모델링작업 1. 솔리드 작업 정면에서 아래와 같이 스케치 스케치한다. '회전 보스'로 회전을 시킨다. '우측면'에서 돌출컷을 할 사각형을 스케치 한다. 돌출컷을 17만큼 준다. 윗면에서 구멍을 뚫을 원을 스케치한다. 다시 우측면에서 아래와 같이 돌출컷을 할 위치에 사각형을 스케치한다. 돌출 컷을 한 후의 모습이다. 정면에서 원쪽 큰 원에서 원을 그려 돌출컷을 한다. [완성 모델링] [작업 파일] 2. 도면 작업 내용 없음 [도면 파일] 더보기
생자 실기 solidworks 10번 모델링 + 도면 작업 1. 솔리드 작업 스케치를 중심에서 회전하는 것과 중심선 위쪽에 회전하는 것 둘로 분리해서 작업한다. 정면도에서 아래와 같이 스케치 한다. 지름이 되는 치수를 표시할 때는 중간에 중심선(보조선)을 그어 놓고 한다. 스케치 종료후 '회전보스'로 회전시킨다. 중심선 위쪽 회전체를 스케치한다. 중심선 위로 10만큼 떨어진 곳에 중심선을 하나 만든다. 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나머지를 스케치 한다. 스케치 종료 후 회전보스를 적용한다. 다음은 키홈 작업을 해야 한다. 화면을 정면으로 놓고 '참조형상-기준면'을 누른다. 참조1을 '우측면' 선택, 거리는 8.5(17/2)로 한다. 만들어진 기준면에 키 홈을 스케치하고 돌출컷을 해준다. 키 홈의 깊이는 3.5mm로 한다. 앞 부분의 필렛을 1로 준다. [작업 파일] 2..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