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전기 기능사 실기 - 승강기 제어 1. 요구사항 ① 배선차단기(MCCB)에 전원이 투입되면 WL 점등. ② PB1을 누르면 R1, T1 여자되고 LS1을 누르면, MC1이 여자되어, RL1이 점등되고 전등기 M1이 동작한다. ③ T1의 설정시간 후 R2와 T2가 여자, GL이 점등되고, LS2를 누르면 MC2가 여자되어 RL2가 점등되면서 전동기 M2가 동작한다. ④ T2의 설정시간 후 ① 동작과 ② 동작이 반복되고 PB2를 누르면 초기화된다. ⑤ EOL1나 EOL2가 동작하면 초기화 되고 YL이 점등한다. 2. 동작회로도 PB1을 누르고 리밋스위치LS1, LS2는 누르지 않는다. MC1, MC2가 여자되지 않으니 모터는 회전하지 않을 것이다. PB1을 누르고 리밋스위치 LS1만 눌러본다. MC1가 여자되고 모터 M1만 회전한다. 타이머.. 더보기 전기 기능사 실기 - 온도조절기 (수업 0128) (2020년 1월 28일 수업 1. 요구사항 1) MCCB에 전원을 투입하면 회로에 전원이 공급되고 램프 WL 점등. 2) PB1을 누르면 릴레이 X 여자, MC1 여자, 램프 RL 점등되며, 순환모터가 동작된다. 3)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온도릴레이 TC가 여자, 타이머 T 여자, MC1이 소자, 램프 RL 소등되며, 순환모터가 정지한다. 4) 타이머 T의 설정시간 t초 후 MC2가 여자, 램프 GL이 점등되고 배기모터가 동작된다. 5) PB0를 누르면 운전 중인 모든 전동기의 동작이 정지된다. 6) 전동기 운전 중 순환모터 M1(배기모터 M2)이 과부하로 과전류가 흐를 때 전자식과전류계전기 EOCR1(EOCR2)가 동작되어 순환모터 M1(배기모터 M2)이 정지, 플리커릴레이 FR이 여자된다. 7) 플.. 더보기 전기 기능사 실기 - 컨베이어 제어회로2 (순차) 전원공급 후 PB1 누름 -> PR1여자 -> 유도전동기(M1) 동작 T1 여자 -> 한시동작(3초) -> T1 접점 붙음 GL1 점등 T1 접점 붙음 -> PR2여자 -> 유도전동기(M2) 동작 PR2여자 -> PR2 b접점 동작 -> T1소자, GL1소등 T2 여자 -> 한시동작(3초) -> T2 접점 붙음 GL2 점등 T2 접점 붙음 -> PR3여자 -> 유도전동기(M3) 동작 PR3여자 -> PR3 b접점 동작 -> T2소자, GL2소등 GL3 점등 PB2 누름 -> 릴레이X 여자 -> X b접점 동작(떨어짐) -> PR3 소자 -> M3 전동기 멈춤 T3 여자 -> 한시동작(1초) -> T3 b접점 동작(떨어짐) -> M2 전동기 멈춤 T4 여자 -> 한시동작(3초) -> T4 b접점 동작(떨어.. 더보기 전기기능사 실기 시험 (회로 종류) - 내용 정리 中 - 각 회로의 특징들은 차후 정리 예정입니다. 온실하우스 간이난방 운전 자동온도조절제어 승강기 제어 급배수 처리장치 공장 동력 배선회로 리프트 자동제어 컨베이어 제어(순차) 컨베이어 제어(정역) 전동기 제어(Y-델타 기동) 전동기 제어(1개소 기동 정지) 전동기 제어(수동-센서) 전동기 제어(리밋-타이머) 전동기 제어(정역순차) 전동기 제어(정역) 전동기 제어(리밋) 더보기 전기 기능사 실기 - 컨베이어 제어회로-1(순차) 전원공급 후 PB1 누름 -> PR1여자 -> 유도전동기(M1) 동작 T1 여자 -> 한시동작(3초) -> T1 접점 붙음 R1 점등 T1 접점 붙음 -> PR2여자 -> 유도전동기(M2) 동작 T2 여자 -> 한시동작(3초) -> T2 접점 붙음 R2 점등 T2 접점 붙음 -> PR3여자 -> 유도전동기(M3) 동작 R3 점등 PB2 누름 -> 릴레이X 여자 -> X b접점 동작(떨어짐) -> PB3소자 -> M3 전동기 멈춤 T3 여자 -> 한시동작(3초) -> T3 b접점 동작(떨어짐) -> M2 전동기 멈춤 T4 여자 -> 한시동작(3초) -> T4 b접점 동작(떨어짐) -> M1 전동기 멈춤 (타이머 접점은 한시동작 순시복귀 a접점, 한시동작 순시복귀 b접점이다) PB3를 누르면 전동기가 모두 .. 더보기 전기 기능사 실기 - 온실제어회로 (2019년도 3회 기출) 2019년도 3회 기출 (20191102) 위의 두 영상 합침 [작업 파일] 더보기 솔리드웍스 도면파일의 오토캐드 레이어와 연동하는 방법 -맵핑Mapping 도면 파일을 캐드파일(.DWG)로 저장할때 옵션을 지정한다. 매핑기능을 사용하겠다는 것을 체크한다. 처음일때는 '맵 파일'이 없다. 매핑 창이 뜬다. 현재는 미리 지정되어 있는 파일을 불러온 경우이다. 왼쪽 창이 AUTOCAD 파일에 사용될 레이어 아무것도 지정하지 않으면 0번 레이어에 다 들어간다. 오른쪽 맵 요소를 보면 레이어는 오토캐드에서 사용할 레이어다. 외형선의 요소에는 어떤 요소를 가져다 놓을거냐? ---> '형상 정보를 가져다 놓겠다' 이렇게 하면 뷰에서 바깥쪽 형상을 나타내는 실선들이 '외형선'으로 들어온다. 그 밑으로 하나씩 오토캐드에서 쓸 레이어에 현재 솔리드웍스에서 사용하고 있는 요소들을 대응시켜준다. 몇 가지 추가를 해주었다. 그리고 다음에 쓸 경우를 대비해서 '맵 파일 저장하기'를.. 더보기 전기 기능사 실기 - 자동 온도 조절제어 (수업 0205) 1. 요구사항 ① 배선차단기 MCCB에 전원을 투입하면 WL이 점등된다. ② PB1을 누를 때 X와 MC1이 여자되어 RL이 점등되고, 순환모터가 동작된다. ③ TC의 설정 온도에서 MC1이 소자, T가 여자되어, RL이 소등되고, 순환모터가 정지된다. ④ T의 설정시간 후 MC2가 여자되어 GL이 점등되고, 배기모터가 동작한다. ⑤ EOCR이 동작할 때(과부하시) FR에 의해 YL가 점멸된다. ⑥ PB2를 누를 때 모든 동작이 정지하여 초기화 된다 (단, 과부하 시에는 자동 초기화 된다) 온도계전기(TC)의 설정온도를 26도로 한다. 이때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20도일 경우 설정온도(26도)보다 낮기 때문에 '순환모터'가 구동되고 측정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40도일 경우는 '배기모터'가 구.. 더보기 생자 실기 solidworks 15번 모델링 + 도면 작업 1. 솔리드 작업 정면에서 스케치작업을 아래와 같이 한다. 스케치 종료 후 돌출보스를 한다. 방향은 중간평면, 길이는 20 뒷면으로 가서 아래와 같이 스케치 한다. 스케치 종료 후 돌출보스를 한다. 방향은 블라인드 형태(반대방향), 길이는 12 다시 뒷면에서 아래와 같이 스케치 한다. 스케치 종료 후 돌출컷으로 관통을 한다. 관통 후 등각보기를 해본다. 왼쪽 면으로 가서 아래와 같이 스케치 한다. 스케치 종료 후 돌출컷으로 관통을 한다. 관통 후 등각보기를 해본다. 안쪽 각진 4부분에 필렛을 2만큼 준다. [완성 모델링] [작업 파일] [작업 파일] 2. 도면 작업 [도면 파일] 더보기 생자 실기 solidworks 14번 모델링 + 도면 작업 1. 솔리드 작업 정면을 잡고 아래와 같이 스케치한다. 스케치 후 안쪽 도넛 형상을 돌출보스한다. 중간평면, 길이는 42mm 바깥쪽 도넛 형상을 돌출보스한다. 중간평면, 길이는 28mm 다시 정면에 있는 면을 잡고 아래와 같이 스케치한다. 피치원(P.C.D)지름을 100, 이끝원 지름을 106으로 한다. 기어의 이 모양을 스케치 하기 위해 중심선 오른쪽으로 점을 3군데 찍어둔다. 중심선에서 두번째 점까지 거리는 3*0.785(=2.36mm)로 한다. 첫 번째 점과 두번째 점까지 거리는 3*0.5(1.5mm)로 한다. 두 번째 점과 세 번째 점까지 거리는 3*0.25(0.75mm)로 한다. 3점을 '3점호'로 연결한다. 대칭복사를 해주고 돌출보스를 해준다. 방향은 '다음까지'로 한다. 돌출 후의 모습이다... 더보기 생자 실기 solidworks 13번 모델링 + 도면 작업 1. 솔리드 작업 정면에서 아래와 같이 스케치를 한다. 스케치 종료 후 돌출보스를 적용한다. 중간평면, 길이 40mm 모서리에 필렛 20을 준다. 윗면에 지름 20인 원을 그리고 돌출컷을 해준다. 위면 모서리에 필렛 6을 준다. 오른쪽 면에서 지름 15인 원을 스케치 한다. 정면 뷰로 와서 원 중심에서 20도 각도의 선을 그린다. 이 상태에서 '컷 스윕' 기능을 이용해서 해당 경로(직선)에 프로파일(원) 모양으로 컷을 해준다. 오른쪽 면을 잡고 원을 스케치해서 관통을 시켜준다. 오른쪽 면 위에 원을 그리고 관통시켜준다. 모서리 부분은 필렛 12를 준다. 마지막으로 필렛 3을 준다. [완성 모델링] [작업 파일] 2. 도면 작업 A3 크기의 시트용지에 표제란과 중심마크를 그리고 모델링한 파트를 뷰로 불러온.. 더보기 생자 실기 solidworks 12번 모델링 작업 1. 솔리드 작업 정면에서 상단의 원형상을 스케치한다. 스케치 종료 후 돌출보스 22만큼 해준다. 윗면을 클릭하고 '참조형상-기준면'을 눌러 기준면을 55mm만큼 아래에 만들어준다. 평면1(기준면)에 바닥판을 만들 사각형을 스케치한다. 돌출보스를 5mm로 해준다. 우측면을 잡고 오른쪽 끝 모서리에 돌출컷을 할 사각형을 스케치 한다. 돌출 컷을 해준다. 필렛작업을 아래와 같이 해준다. 바닥면과 원통을 연결할 수직면 작업을 한다. 정면의 뒷쪽 면을 잡고 돌출 형상을 스케치한다. 원은 직접 그려도 되고, 원통의 원을 클릭 - '요소변환'을 눌러도 된다. 원과 바닥면에 선을 긋는다. 원과 선의 접점은 일치+탄젠트 조건의 아이콘이 뜰때까지 그려준다. 선을 원에 붙이고 원과 선을 클릭해서 '일치'조건을 한 번 더 .. 더보기 생자 실기 solidworks 11번 모델링작업 1. 솔리드 작업 정면에서 아래와 같이 스케치 스케치한다. '회전 보스'로 회전을 시킨다. '우측면'에서 돌출컷을 할 사각형을 스케치 한다. 돌출컷을 17만큼 준다. 윗면에서 구멍을 뚫을 원을 스케치한다. 다시 우측면에서 아래와 같이 돌출컷을 할 위치에 사각형을 스케치한다. 돌출 컷을 한 후의 모습이다. 정면에서 원쪽 큰 원에서 원을 그려 돌출컷을 한다. [완성 모델링] [작업 파일] 2. 도면 작업 내용 없음 [도면 파일] 더보기 생자 실기 solidworks 10번 모델링 + 도면 작업 1. 솔리드 작업 스케치를 중심에서 회전하는 것과 중심선 위쪽에 회전하는 것 둘로 분리해서 작업한다. 정면도에서 아래와 같이 스케치 한다. 지름이 되는 치수를 표시할 때는 중간에 중심선(보조선)을 그어 놓고 한다. 스케치 종료후 '회전보스'로 회전시킨다. 중심선 위쪽 회전체를 스케치한다. 중심선 위로 10만큼 떨어진 곳에 중심선을 하나 만든다. 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나머지를 스케치 한다. 스케치 종료 후 회전보스를 적용한다. 다음은 키홈 작업을 해야 한다. 화면을 정면으로 놓고 '참조형상-기준면'을 누른다. 참조1을 '우측면' 선택, 거리는 8.5(17/2)로 한다. 만들어진 기준면에 키 홈을 스케치하고 돌출컷을 해준다. 키 홈의 깊이는 3.5mm로 한다. 앞 부분의 필렛을 1로 준다. [작업 파일] 2.. 더보기 생자 실기 solidworks 06번 모델링 + 도면 작업 1. 솔리드 작업 정면에서 스케치를 한다. 파란색 부분, 회전시 지름이 될 치수를 36으로 한다. 스케치 종료 후 회전 보스를 해준다. 우측면으로 이동해서 원을 스케치 해서 돌출컷을 한다. 다시 지름 11인 원을 그리고 치수를 아래로 내려서 그린다. 그려진 원과 함께 돌출 컷 할 곳을 스케치로 그려준다. 돌출컷을 10mm만큼 해준다. 원형패턴으로 패턴복사를 해준다. 방향은 안쪽 원의 면으로 하고 '피처 및 면'은 작은 '구멍' 형태와 '하우스' 형태의 돌출컷을 선택해준다. 각도는 360도, 인스턴스 갯수는 5개 필렛을 5mm로 해준다. [완성 모델링] [작업 파일] 2. 도면 작업 시트용지 크기를 A3 (420X297)로 하고 윤곽선을 그린다. 윤곽선의 위치는 왼쪽 밑의 점(10, 10), 오른쪽 위의 .. 더보기 이전 1 ··· 56 57 58 59 60 61 62 ··· 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