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PC제어프로그램 9일차 (20.07.30) LED 점등하기(LED3) 장비가 정상인지 확인해본다. 연결해 본다. 장비와 컴퓨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 과제 수행을 해본다. LED6개를 점등하는 프로그램을 새로 만든다. // LED1_0730_10Dlg.cpp : implementation file #include "stdafx.h" #include "LED1_0730_10.h" #include "LED1_0730_10Dlg.h" //#include "windows.h"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iostream" //#define ENABLE_TRACE #ifdef _DEBUG #define new DEBUG_NEW #undef THIS_FILE static char THIS_FILE[] = __FILE_.. 더보기
디지털 회로 수업 - 전감산기회로 실험 지난 시간에는 반감산기회로를 실험하였다. 이번 시간에는 전감산기 회로에 대해 알아본다. 과제명 : 전감산기회로 실험 2 □ 실험 방법 1. 각 부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를 선정한다. 2. 회로도를 이용하여 전감산기의 입력회로와 출력회로를 설계하고, 연산의 차가 'H'일 경우 녹색 LED를 점등하고, 자리빌림이 발생할 경우 적색 LED를 점등하도록 설계한다. □ 회로도 □ 실험 결과 입력전압 출력전압 LED 점등 논리판정 작업중 ~~~~ 더보기
로봇모델링 9일차(0728) - 소형레버에어척 분해/조립 이번 시간에는 소형레버 에어척의 부품들을 결합하는 어셈블리 작업을 해 보았다. 이렇게 조립된 어셈블리에 대한 단면도를 제작하고 제출하였다. 그리고 시간이 좀 남아서 어셈블리를 분해하고 다시 재결합하는 작업을 해 보았다. 처음 하는 작업이라 분해의 순서가 약간 틀렸다. 중간단계의 부품 그룹이 먼저 분리되고 하위 부품이 나중에 분리가 되는 순서로 되어야 한다. 아래 영상에서 보면 부품이 각각 따로 분리된다. 솔리드웍스의 애니메이션 기능을 활용한 영상이다. 에어척 분해 후 조립과정 측면에서 본 모습 위에서 본 모습 다음 시간에는 사출금형 판금, 몰드, 용접구조물에 대해 알아본다. 더보기
설비보전기사 정리 중(설비보전기사(동영상).pdf) 2019년 4회차 실기 필답형 1. 엔진 실린더 피스톤에 설치되는 피스톤 링에 대한 화살표 2문제 : 1)압축링 2)오일링 2. 배관 고정볼트에 화살표 U 볼트 3. 천정 배관 고정장치에 화살표 배관 SUPPORT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y30840&logNo=189219339 4. 엔진의 피스톤에서 크랭크 까지의 연결부속들에 화살표 1) 피스톤로드 2) 크로스헤드 베어링 3) 커넥팅로드 https://okcoding.tistory.com/544?category=904813 더보기
PLC2 16일차 수업 (200727) 수동운전 1초 눌렀을때 속도가 빨리지는 기능은 잘 안되고 있음 인칭운전 위치를 세팅한다. 조그 운전을 하다가 위치값을 가져와서 위치결정데이터에 기록한다. 그리고 그쪽으로 가라 이것을 티칭이라 한다. 이것을 누적패턴이라한다. 가서 멈출건지 연속적으로 움직일 건지 궤도로 갈건지 결정하는 거 하나있고 가속/감속 속도가 있다. 메뉴얼 142페이지 버퍼메모리에 위치 데이터를 집어 넣을 것이다. 680페이지 681페이지 버퍼메모리를 보면 우리는 5번부터 쓸 것이다. 142페이지 설정을 해서 2000번부터 집어 넣을 것이다. '01F0'을 집어넣는 프로그램을 짠다. 운전패턴 / 제어방식 / 감속 / 가속속도까지 했다. 위치주소값과 속도값을 넣어야 한다. 티칭값을 지정하고 지정한 곳으로 이동을 하는 실습을 해보았다. .. 더보기
PC제어프로그램 8일차 (20.07.24) FND 점등하기 LED 점등1 프로그램 - 해당 LED의 체크 박스를 선택 후, 수동구동 버튼을 누르면 LED가 점등하고 - 체크박스를 해제한 후, 수동구동 버튼을 누르면 LED가 소등 - 파일명 : LED1 PC 프로그램 데이타 PC와 미니 MPS 트레이너를 연결함. 프로그램 실행 - FILE - NEW - 창이 뜨면 MFC AppWizard [exe] 선택 파일구조를 보면 아래와 같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때 링크를 걸어주어야 오류가 생기지 않는다. FTD2xx.lib led0... 소스를 더블 클릭해서 들여다 보자. // led1Dlg.cpp : implementation file #include "stdafx.h" #include "led1.h" #include "led1Dlg.h" #ifdef _DEBUG #.. 더보기
PC제어프로그램 8일차 (20.07.24) password 입력시 반복문 종료 /* break.c */ #include #define TERMINAL 10 int main(void) { int terminal; printf("정수를 입력하여 숫자를 맞추어보세요. \n"); for(;;){ // 초기화, 조건검사, 증감연산 없음 (무한) scanf("%d", &terminal); if(terminal > TERMINAL ) printf("더 작은 수를 입력하세요 >>> \n"); else if(terminal >> \n"); else if(terminal == TERMINAL) break; } printf("---------------------------------. \n"); prin.. 더보기
디지털 회로 수업 - 반감산기회로 실험 과제명 : 반감산기회로 실험 □ 실험 방법 1. 회로도와 같이 조립한다. 2. 디지털 입력전압에 따른 출력전압을 측정한다. □ 회로도 □ 실험 결과 입력전압 출력전압 LED 점등 논리판정 A B D B 적색 녹색 L L L L OFF OFF L H H H ON ON H L H L ON OFF H H L L OFF ON 뺄셈은 보수를 사용하는 방법 외에 감산기(Subtractor)를 사용하여 직접 2진수를 감산할 수 있다. 반감산기는 2진수 1자리의 두 개 비트를 빼서 그 차를 산출하는 회로다. 만약에 피감수 비트가 감수 비트보다 작으면 바로 상위에 있는 비트로부터 '1'을 빌려온다. 이것을 자리내림(Borrow)이 생겼다고 한다. 반감산기 회로에서는 A-B를 계산하여 두 수의 차이(difference) .. 더보기
전기유압 13 (설비보전기사) 1. 요구사항 가. 주어진 유압 회로도와 전기 회로도에 의해 시스템을 구성하고, 다음과 가. 주어진 유압 회로도와 전기 회로도에 의해 시스템을 구성하고, 다음과 같은 동작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나. 전기 회로도 중 오류 부분에 대하여는 수검자가 정정한 후 작업하여야 하며, 릴레이 개수는 증감이 없어야 한다. 다.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유압을 공급했을 때 유압유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라.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원을 투입했을 때 쇼트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마. 전기 배선은 전원의 극성에 따라 +24V는 적색, -0V는 청색(또는 흑색)의 리드선을 구별하여 사용한다. 바. 유압 공급압력은 0.4MPa가(오차 +-50KPa) 되도록 한다. 2. 기본제어 동작 1) 초기상태에서 시작 스위치(.. 더보기
전기공압 13 (설비보전기사) 1. 요구사항 가~마. 생략... 바. 서비스 유닛의 공급압력은 5MPa가(오차 +-50KPa) 되도록 한다. 2. 기본제어동작 1) 공압 구성작업에서 실린더 A는 유도형 센서나 용량형 센서 또는 전기 리드 센서를 이용하고 실린더 B는 전기 리밋 스위치를 사용하여 구성하여야 한다. 2) 실린더 B는 초기에 전진하여 있고 PB1 스위치를 ON-OFF하면 실린더 A가 전진한 다음 실린더 B가 후진하여 계량된 곡물을 아래로 내려 보낸 후 실린더 B가 전진을 하고, 실린더 A가 후진위치로 이동하여 곡물을 실린더 B로 내려 보낸 후 정지한다. PB1 -> A+ B- B+ 3Ts A- 3. 응용제어동작 1) 타이머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되도록 해야 한다. ① 실린더 A가 전진 완료 후 실린더 B가 후진한 후 .. 더보기
전기유압 12 (설비보전기사) 1. 요구사항 가~마. ~~~ 생략 ~~~ 바. 유압 공급압력은 4MPa가(오차 +-50KPa) 되도록 한다. 2. 기본제어동작 1) 초기상태에서 시작 스위치(PB1)를 ON-OFF하면 유압실린더 A가 전진과 동시에 유압모터 B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유압실린더 A가 전진 완료 후, 후진과 동시에 유압모터 B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유압실린더 A가 후진 완료되면 유압모터 B는 정지되어야 한다. (A+ & B+) (B- & A-) 3) 응용제어동작 1) 연속 선택 스위치(PB2)와 연속 정지 스위치(PB3)를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되어야 한다. ① 연속 선택 스위치(PB2)를 한 번 누르면 기본제어 동작이 연속(반복 자동행정)으로 동작 한다. ② 연속 정지 스위치(PB3)를 한 번 누르면 실린더 .. 더보기
전기공압 12 (설비보전기사) 1. 요구사항 가~마. 생략... 바. 서비스 유닛의 공급압력은 5MPa가(오차 +-50KPa) 되도록 한다. 2. 기본제어동작 1) 공압 구성작업에서 실린더 A는 유도형 센서나 용량형 센서 또는 전기 리드 센서를 사용하고 실린더 B는 전기 리밋 스위치를 사용하여 구성하여야 한다. 2) 초기상태에서 리셋스위치(PB2)를 ON-OFF한 후 PB1 스위치를 ON-OFF하면 실린더 A가 후진하고 실린더 A가 후진 완료하면 실린더 B가 후진하고 실린더 B가 후진완료하면 실린더 A가 전진하고 실린더 A가 전진 완료하면 B가 전진하고 실린더 B가 전진 완료하면 동작을 멈추고 정지한다. PB2 PB1 -> A- B- A+ B+ 3. 응용제어동작 1) 타이머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되도록 해야 한다. ① 실린더 A.. 더보기
전기유압 11 (설비보전기사) 1. 요구사항 가~마. ~~~ 생략 ~~~ 바. 유압 공급압력은 4MPa가(오차 +-50KPa) 되도록 한다. 2. 기본제어동작 1) 유압 구성작업에서 센서는 모두 전기 리밋 스위치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2) 초기상태에서 시작 스위치(PB1)를 ON-OFF하면 실린더 A가 전진하고 실린더 A가 전진 완료 후, 실린더 B가 전진 및 후진 완료하고 실린더 A가 후진한다. A+ B+ B- A- 3) 응용제어동작 1) 누름버튼 스위치를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① 누름 버튼 스위치(PB2)를 누르면 기본제어동작이 연속동작 하여야 한다. ② 누름 버튼 스위치(PB3)를 누르면 행정이 완료된 후 정지하여야 한다. 2) 타이머를 사용하여 실린더 B가 전진완료하면 3초 후에 후진하도록 회로를 구성한다. 3) 실.. 더보기
전기공압 11 (설비보전기사) 1. 요구사항 가~마. 생략... 바. 서비스 유닛의 공급압력은 5MPa가(오차 +-50KPa) 되도록 한다. 2. 기본제어동작 1) 공압 구성작업에서 실린더 A는 유도형 센서나 용량형 센서 또는 전기 리드 센서를 이용하고 실린더 B는 전기 리밋 스위치를 사용하여 구성하여야 한다. 2) 초기상태에서 PB1 스위치를 ON-OFF하면 변위-단계선도와 같이 실린더 A가 전진하고 실린더 A가 전진완료하면 실린더 B가 전진한 후 실린더 A가 후진하고 실린더 A가 후진 완료되면 실린더 B가 후진한다. PB1 -> A+ B+ A- B- 3. 응용제어동작 1) 연속 스위치 PB2 및 연속 정지 스위치 PB3를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하도록 한다. ① 연속 스위치를 선택하면 기본제어동작이 연속 행정으로 되어야 한다. .. 더보기
전기유압 10 (설비보전기사) 1. 요구사항 가~마. ~~~ 생략 ~~~ 바. 유압 공급압력은 0.4MPa가(오차 +-50KPa) 되도록 한다. 2. 기본제어동작 1) 초기상태에서 시작 스위치(PB1)를 ON-OFF하면 실린더 A가 전진하고 실린더 A가 전진 완료하면 실린더 B가 전진하고, 실린더 B가 전진완료하면 실린더 A와 실린더 B가 후진한다. A+ B+ (A- B-) 3. 응용제어동작 1) 비상정지 스위치 및 기타 부품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되도록 한다. ① 기본제어동작 상태에서 비상정지 스위치(PB2)를 한 번 누르면(ON) 동작이 즉시 정지되어야 한다. ② 비상정지 스위치(PB2)를 해제하면 초기화된 후 기본제어 동작이 되어야 한다. ③ 타이머를 사용하여 실린더 A가 전진완료 후 5초 후에 실린더 B가 전진하도록 회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