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솔리드웍스 Part(부품) Modeling의 기본 Part(부품) Modeling 기준면 설정 => 스케치 [ 구속조건 or 자동치수 ] => 스케치 종료 => 피처 (돌출_extrude,회전_Revolve, 스윕_Sweep, 로프트_Loft) 기준면 설정 : 초기의 데이텀을 어떻게 잡을거냐? 라는 부분. 로프트 : 서로다른 평면과 평면 사이에 모델링해주는 것 탄젠트 (접점, 접선) ==> 호+호, 호+원, 원+사선 더보기
팽이를 처음본 냥 더보기
로봇모델링 3일차(0508) - 1(스케치 마지막) 87페이지 (가로로 놓고 본다) 기준면은 : 최초의 기준면 정할때 쓴다. 피처 과정에서의 기준면은 '참조형상-기준면'을 사용한다. 사용하지 않는 선은 요소잘라내기로 삭제하고 필렛을 준다. 그런데 필렛 오류메시지가 뜬다. 치수가 오차가 난다. 곡률을 R2.5에서 R2로 변경한다. 왼쪽 편에 키홈을 스케치한다. 나머지는 삭제를 해준다. 오른쪽의 외곽 스케치 작업을 해준다. 일단 R32의 원을 그린다. 그리고 R32의 원과 오른쪽 R22의 반지름과 접선을 시켜줄 직선을 그린다. 직선을 원 두 곳과 탄젠트 조건(tan)으로 붙여준다. 붙여주고 직선을 움직여보면 원의 접선방향(tan조건)으로만 움직이고 다른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는다. 아래쪽 접선을 스케치하고 필요없는 선들은 제거해 준다. 손톱모양의 중심 교차축.. 더보기
로봇 장비 팔 분해 - 서보모터, 엔코더 (2020.05.08) 관절에 사용되는 서보모터가 있다. 모터가 있으면 조그만하게 달린것이 있는데 이것이 엔코더이다. 이것을 찾아서 정리해서 보고서를 작성한다. [ 진단평가 ] 산업용 Robot 이해도 진단 평가 진행. 1. Robot 구동을 위해 내부에 Servo Motor가 각 축 별로 내장 되어 있습니다. Servo Motor의 주요 기능은 무엇인지 기술하세요. 서보 모터는 자동화시스템에서 동력발생기(Actuator)로 사용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서보 모터는 경량, 소형, 설치의 용이성, 고효율성, 정확한 제어성, 유지보수의 용이성 등의 특징들을 갖추어야 한다. 특히 많은 모터가 설치된 무인 자동화공장 등에서는 유지, 보수가 용이한 서보 모터의 특징이 커다란 이점으로 작동한다. 서보모터는 정보처리회로(cpu)의 명.. 더보기
멋진 구도의 사진 한잔하셨네 더보기
솔직히 70, 80년대생들 꿀빤거 맞음 더보기
PC제어프로그램 3일차 (20.05.07) - 진수의 연산, 뺄셈 ■ 진수의 연산 7(10) +8(10) 15(10) 1(2) +1(2) 10(2) 1(2) +1(2) +1(2) 11(2) ◆ 10진수 6+5를 2진수로 변환시켜 계산해보자. 6(10) +5(10) ? -> 0110(2) +0101(2) 1011(2) 검산: 2진수 1011는 10진수로 11이다. ■ 뺄셈 ◆ 초기의 컴퓨터는 직접 뺄셈을 수행 ◆ 뺄셈을 보수에 의한 덧셈으로 한다. ■ 보수를 사용하는 목적은 뺄셈을 하기 위한 방법 -> 뺄셈을 덧셈으로 용이하게 하는 방법 ■ 1의 보수 / 2의 보수 1의 보수 - 각 자리의 0을 1로, 1을 0으로 변환 110100(2)의 1의 보수는 001011(2) 1011(2) 2의 보수는 1의 보수에 1을 더한다. 1011(2) + 1(2) = 1100(2) ex.. 더보기
PC제어프로그램 3일차 (20.05.07) - 소수점 진법변환(8 <-> 2 <->16) 5. 수의 변환 응용 (암산으로 변환) 2^3 2^2 2^1 2^0 32 16 8 4 2 1 A:10, B:11, C:12, D:13, E:14, F:15 ■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 ◆ ■ 2진 정수를 8진, 16진으로 변환 ◆ 8진수로 변환은 3자리씩 ■ 8진수를 2진, 16진수로 변환 ◆ 8진수에서 16진수로의 직접 변환은 없다 ◆ 8진수에서 2진수, 2진수에서 16진수로 변환할 수 있다. A:10, B:11, C:12, D:13, E:14, F:15 37.24 (8) 011111.010100 (2) 1F.50 (16) 26.37(8) 010110.011111(2) 16.7C(16) 52.71(8) 101010.111001(2) 2A.E4(16) 64.53(8) 110100.101011(2) 34... 더보기
생산자동화기능사 CAD작업(42번) 모델링 정면에서 아래와 같이 스케치한다. 스케치 종료 후 '피처-돌출' 작업을 한다., 돌출은 안쪽 원을 '21-13'mm만큼 하고 외곽 원을 21mm만큼 돌출해준다. 돌출보스와 돌출컷의 기준이 되는 원 2개를 그려준다. 방금 그린 원 2개는 보조선으로 변경을 해준다. 안쪽 원을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돌출될 면을 스케치 한다. 중간에 필요없는 선은 삭제 후 스케치 종료를 한다. 돌출-보스를 '21-15'mm만큼 아래와 같이 해준다. 돌출된 면이 정면으로 보이게 위치시키고 원형패턴을 시켜준다. 각도가 72도이므로 5개를 그릴 수 있겠다 (72*5=360도) 아래처럼 돌출될 면을 영역이 지정되게 한 다음 '피처-원형패턴'을 적용시킨다. 앞면에서 편집으로 들어간다. 중앙의 보조선 원 두개를 보이게 한 후 '돌출컷'으.. 더보기
3D 프린터 (모델링소스 +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및 사용법) 3d 프린터 https://www.thingiverse.com/ Thingiverse - Digital Designs for Physical Objects Thingiverse is a universe of things. Download our files and build them with your lasercutter, 3D printer, or CNC. www.thingiverse.com 무료 소프트웨어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tudycadcam&logNo=221545035664&redirect=Dlog&widgetTypeCall=true&directAccess=false 3D프린트 프로그램 큐라 (CURA 4.0) 설치 및 한글 언어변경 ​형상.. 더보기
로봇 장비 팔 분해 (2020.05.07) 로봇 장비 팔 분해하고 사진 찍고 보고서 만들어보기 6축 다관절 로봇의 팔을 분해 결합해 본다. 양쪽 면에 있는 커버들을 열어보고 로봇의 움직임에 따른 부품의 역할을 알 수 있다. 모터와 타이밍 벨트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관절마다 설치되어 있어 로봇이 동작할때 모터가 회전하고 타이밍 벨트로 동력(회전력)이 전달되어 관절이 특정 각도로 회전하거나 수평,수직 이동이 가능하다. 로봇 동작에 따른 모터와 타이밍 벨트의 움직임을 보았다. 확인 후 커버를 결합시킨다. https://www.youtube.com/watch?v=kQf7f7Hj8KE https://www.youtube.com/watch?v=cwH3oH0u_Mk 옆에 있는 부피가 작은 6축 다관절 로봇을 분해하고 동작을 살펴 본다. 확인 방법은 위와.. 더보기
승강기 운전 제어회로 구성 - 도면 2번 (2020.05.06) Content provider is K.Y.W 더보기
승강기 운전 제어회로 구성 - 도면 1번 (2020.05.06) https://www.youtube.com/watch?v=h8aYkSh0uKc >>> 동작 설명 녹색 버튼을 누르면 MC1이 동작하여 정회전을 한다. 이때 적색 램프가 점등된다. 타이머에 의해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MC1의 정회전은 멈추고 (적색 램프 소등) MC2가 동작하여 역회전을 한다. (녹색 램프 점등) 동작 중에 적색 버튼을 누르면 동작은 즉시 멈추고 램프도 모두 소등된다. 동작 중에 EOCR의 TEST 버튼을 누르면 동작 중인 램프는 꺼지고 황색램프만 깜빡인다. Content provider is K.Y.W 더보기
PLC2 수업 (0506) 응용동작2 ===== 작업중 ===== * 응용동작①의 프로그램을 아래의 조건대로 변경하시오 ① 물품이 금속일 경우 배출실린더(CYL4)를 이용해 배출박스에 적재되고, 비금속일 경우 저장박스에 적재한다. ② 동작 완료 후 모든 램프는 소등한다. 매거진에 물품이 있으면 다시 운전을 시작하고 배출되는 물품이 3개가 되면 남은 동작을 끝낸 후 운전이 종료된다. ③ 동작 중에 PB3 스위치를 누르면 녹색램프가 1초 간격으로 점멸하고 모든 모터와 실린더가 정지된다. PB3 스위치를 한 번 더 누르면 시스템이 정상 작동된다. ④ 비상정지 스위치를 누르면 적색램프가 1초 간격으로 점멸하며 나머지 램프는 다 소등하고 모든 모터와 실린더가 정지된다. 비상정지 스위치를 해제하면 적색 램프가 소등되고 즉시 시스템이 초기화 된다. (모.. 더보기
PLC2 수업 (0506) 응용동작1 * 아래의 동작이 순서대로 수행되도록 하시오. ① 매거진에 물품이 있을 때 PB2 스위치를 누르면 녹색램프가 점등하고 1초 후에 공급실린더(CYL1)가 전진하여 물품을 공급하고 후진한다. ② 2초 후에 드릴모터가 구동되고 드릴가공실린더(CYL2)가 전,후진을 2회 반복한다. ③ 1초 후에 드릴모터를 정지시킨다. ④ 송출실린더(CYL3)가 전,후진하여 컨베이어로 물품을 송출시키고 1초 후에 컨베어어 벨트를 구동시킨다. ⑤ 금속, 비금속인지 판별하여 금속일 경우 황색램프를 0.5초 간격으로 점멸하고 비금속일 경우 황색램프를 점등한다. ⑥ 배출실린더를 작동시켜 배출박스에 물품을 적재한 후 컨베이어는 정지한다. ⑦ 작업이 완료되면 모든 램프는 소등된다. 더보기